네트워크 단위 정리
OSI 7계층 | 프로토콜/장비 | 데이터 단위 | 설명 |
User mode (Application) |
Process | Data | Application Process가 File에 Stream 데이터를 Write하면, Stream은 user mode에서 kernal mode로 가서 TCP를 만나 Segmentation(일정 길이로 분해) 되어 Segment가 됨 * Stream: 시작은 있으나 끝은 프로그램 종료에 달린 데이터 단위로, 데이터 길이는 굉장히(IP 수준에서 논하는 단위보다) 길어질 수 있음 * MSS(Maximum Segment Size; 세그먼트의 최대 크기): Packet에 기초하여 만들어짐 * MTU(Maximum Transport Unit; 패킷의 최대 크기, 최대 전송 크기):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1,500bytes |
↕️ | File(Socket) | Stream | |
Kernal mode | TCP | Segment | |
IP | Packet | ||
↕️ | Driver | Frame | |
H/W mode | NIC |
출처: https://youtu.be/p6ASAAMwgd8
'Studying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서비스를 만드신 분에 대하여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9/38) (0) | 2023.02.01 |
---|---|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원리와 기준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8/38) (0) | 2023.01.31 |
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6/38) (0) | 2023.01.28 |
SW 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5/38) (0) | 2023.01.27 |
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4/38) (0) | 2023.0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