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SI 7 Layer, DoD 등 분류 기준은 개념/이상/이론일 뿐,
중요한 것은 사실/실체/구현(e.g., TCP/IP, HTTP, …)
Socket(소켓)
-> Socket이란, TCP/IP Socket이라 했을 때, TCP를 user mode application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파일 형식으로 추상화 한 인터페이스
MAC주소(Access단), IP주소(Network단), Port번호(Transport단)
-> 모두 ‘식별자'
출처: https://youtu.be/k1gyh9BlOT8
'Studying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6/38) (0) | 2023.01.28 |
---|---|
SW 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5/38) (0) | 2023.01.27 |
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4/38) (0) | 2023.01.27 |
Host, Switch, Network의 관계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3/38) (0) | 2023.01.26 |
MAC주소, IP주소, Port번호가 식별하는 대상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2/38) (0) | 2023.0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