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st
-> 호스트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(Host = Computer + Network)
- 네트워크 이용 주체 => End-point (e.g., Peer, Server, Client)
- 네트워크 자체 => Switch
Switch
-> 스위치란 네트워크 자체를 이루는 호스트
e.g., Router - 경로 선정을 위해 스위칭 / Firewall, IPS - 보안을 위해 스위칭
- MAC주소(2계층)를 통해 스위칭 => L2 스위칭
- IP주소(3계층)를 통해 스위칭 => L3 스위칭
- Port번호(4계층)를 통해 스위칭 => L4 스위칭
- HTTP(7계층)를 통해 스위칭 => L7 스위칭
- Layer가 높아질수록 연산이 복잡해지고, 비용이 상승함
- '무엇'으로 스위칭 하는지가 매우 중요함
Network
e.g., Internet = Router + DNS -> 인터넷이란 라우터와 DNS의 집합체
* Ethernet(유선):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, 일반적으로 LAN, MAN 및 W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
* 802.11(무선): 흔히 무선랜, 와이파이라고 부르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로, IEEE의 LAN/MAN 표준 위원회 의 11번째 워킹 그룹에서 개발된 표준 기술
출처: https://youtu.be/kGst-VftN1w
'Studying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6/38) (0) | 2023.01.28 |
---|---|
SW 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5/38) (0) | 2023.01.27 |
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4/38) (0) | 2023.01.27 |
MAC주소, IP주소, Port번호가 식별하는 대상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2/38) (0) | 2023.01.24 |
OSI 7 Layer를 포기하라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1/38) (0) | 2023.0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