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TypeScript 소개 및 효과 -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챌린지 2월 (Day 1) 원티드에서 진행하는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챌린지 2월에 참여하게 됐다. 일정 - 총 2주(2/6~2/19) 동안 매주 월•목에 3시간씩 기술 역량 향상 강의 진행 - 4주(2/20~3/19) 동안 이력서 지원 시상 안내 - 300만원의 상금을 수료한 참여자들에게 1/N로 분배 수료 조건 - 챌린지 진행 기간 동안 원티드를 통해 20건 이상 지원한 경우 - 20건 이하로 지원하였으나, 원티드를 통해 합격한 경우 TypeScript 소개 과거의 TypeScript TypeScript is a superset of JavaScript. 현대의 TypeScript TypeScript is JavaScript with syntax for types. => 타입 구문이 있는 자스가 타스이며, 타스가 컴파일 되면 타.. 더보기 초창기 웹 서비스 구조 (웹 서비스 작동 원리 #1)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10/38) [ 문서를 다루는 S/W = 자료구조 + UI + 제어 ] -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은 많지만, 기능을 모듈화 해야 하는 건 동일 - 모듈화의 최소한의 규칙 - 유지보수 편의성 HTTP버전 1.0 -> 1.1 -> 2.0 -> 3.0 (2022년 기준)1.1 구형이 현재까지도 제일 많이 사용되며, 2.0으로 빠르게 넘어가는 중가장 큰 특징은 Stateless 초기의 웹 서비스웹의 3대 구성요소Web client (Browser)Internet (Public network)Web server=> Client-Server Model - 웹 설계 시 TCP/IP 통신을 전제, 즉 두 통신 주체(클라이언트-서버) 간 TCP/IC 연결이 되어 있다고 가정 물론, 이 연결이 유지되지는 않는다. TCP 연결은 상태의 .. 더보기 웹 서비스를 만드신 분에 대하여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9/38) Web 탄생 배경 티모시 버너스 리 (팀 버너스 리) Web 창시자 문자 데이터는 텍스트 파일로만 저장 가능할 당시 영국의 CERN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 중, 논문(참고문헌)을 읽고 쓰기 편하게 하기 위해 링크의 필요성 절감 기존에 없던 Text + Link 형식을 기술할 수 있는 문서 양식, HTML(Hyper Text Markup Language) 창안 인터넷을 활용하여 연결해서 보여줄 수 있게 전달할 수 있는 방안,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창안 문서끼리 연결되는 모양이 거미줄 같다 하여 HTML + Internet + HTTP을 합쳐 Web이라고 지칭 Web 형태로 논리적으로 문서가 이어진 것을 Web Service라고 지칭 문서를 다루는 모든 S/W의 .. 더보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원리와 기준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8/38)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원리와 기준 호스트(노트북)가 유선(NIC)과 무선(Wifi)으로 각각 다른 통신사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로세스(크롬)를 실행하면 소켓이 열리고, TCP/IP가 바인딩 된다. (유선과 무선에 개별 디바이스 드라이버 존재) Q. 호스트의 IP주소는 몇 개인가? 더보기 A. (세팅하기 나름이지만) 2개 Q. 브라우저(e.g., 네이버)에 접속하면 어떤 네트워크에 연결되겠는가? 더보기 A1.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(e.g., NIC, Wifi)가 여러 개일 때 인터페이스 선택(Switching)을 하는 의사 결정 로직이 존재한다. A2. 응용 프로그램이 소켓을 개방할 때 IP주소를 특정하지 않는다면 OS 수준에서 임의 선택한다. 이 때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은 .. 더보기 네트워크 단위 정리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7/38) 네트워크 단위 정리 OSI 7계층 프로토콜/장비 데이터 단위 설명 User mode (Application) Process Data Application Process가 File에 Stream 데이터를 Write하면, Stream은 user mode에서 kernal mode로 가서 TCP를 만나 Segmentation(일정 길이로 분해) 되어 Segment가 됨 * Stream: 시작은 있으나 끝은 프로그램 종료에 달린 데이터 단위로, 데이터 길이는 굉장히(IP 수준에서 논하는 단위보다) 길어질 수 있음 * MSS(Maximum Segment Size; 세그먼트의 최대 크기): Packet에 기초하여 만들어짐 * MTU(Maximum Transport Unit; 패킷의 최대 크기, 최대 전송 크기): 특..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