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6/38) Switch -> Swtich란 Network를 이루는 Host - 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Switching -> Switching이란 경로 또는 인터페이스를 '선택'하는 것 => Network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최적화된 경로를 선택할 수 있을까? 비유 예시 비고 Network 전체 도로 Internet Swtich 교차로 Router Router 몇 개가 손상되어도 네트워크 전체가 망가지지 않음 Route 길 Route Switching 길 선택 L3 Switching N개 경로 중, 정보가 도착한 경로를 제외한 N-1개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 경로 선택의 근거 표지판 Routing Table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찾기 위해 라우터들끼리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자.. 더보기
SW 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5/38) Port번호 -> SW 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란 Process 식별자 OSI 7 Layer에서 kernal mode의 kernal 수준으로 되어 있는 TCP/IP에 user mode application이 접근할 수 있도록 interface가 제공됨 기본적으로 본질은 File이나, protocol을 추상화 했기 때문에 File이라 하지 않고 Socket이라 함 - Socket을 생성할 때, TCP Socket인 경우, Socket에 부여(Binding)되는 정보 중 하나가 Port번호 - Port번호는 16bit => 가능한 경우의 수는 2^16가지(0~65535) - 0과 65535는 사용하지 않는, 사용하면 안 되는 번호 => 2^16-2가지(1~65534)의 Port번호 존재 e.g., IP가.. 더보기
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4/38) IP(Internet Protocol, 인터넷 통신규약) -> IP란 호스트에 대한 식별자 대한민국 행정체계 = Network 개인 = Host 주민등록번호 = IP IPv4와 IPv6의 차이점 차이점 IPv4 IPv6 주소 길이 32bit 128bit IPv4 체계 - 8bit(0~255)씩 .으로 끊어서 표시 => 8bit * 4 = 32bit 192 . 168 . 60 . 14 Network ID (24bit) Host ID (8bit) => IP주소 = Network ID + Host ID Subnet Mask (= Netmask) -> 넷마스크란 IP주소에서 Network ID의 길이 IPv4 주소 192 . 168 . 60 . 14 서브넷 마스크 255 . 255 . 255 . 0 AND 연산.. 더보기
Host, Switch, Network의 관계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3/38) Host -> 호스트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(Host = Computer + Network) 네트워크 이용 주체 => End-point (e.g., Peer, Server, Client) 네트워크 자체 => Switch Switch -> 스위치란 네트워크 자체를 이루는 호스트 e.g., Router - 경로 선정을 위해 스위칭 / Firewall, IPS - 보안을 위해 스위칭 - MAC주소(2계층)를 통해 스위칭 => L2 스위칭 - IP주소(3계층)를 통해 스위칭 => L3 스위칭 - Port번호(4계층)를 통해 스위칭 => L4 스위칭 - HTTP(7계층)를 통해 스위칭 => L7 스위칭 - Layer가 높아질수록 연산이 복잡해지고, 비용이 상승함 - '무엇'으로 스위칭 하는지가 매우 중요함 .. 더보기
MAC주소, IP주소, Port번호가 식별하는 대상 - 네트워크 기초 이론 (2/38) MAC주소 (2계층, H/W계층) -> NIC에 대한 식별자 - 유/무선 LAN 카드를 가진 노트북은 MAC주소가 2개라고 할 수 있음 - Host에 대한 식별자가 아님 - H/W 주소 - 변경 가능 * NIC(Network Interface Card, also known as a network interface controller, LAN card): computer hardware component that connects a computer to a computer network IP주소 (3계층, 네트워크계층) -> Host에 대한 식별자 - v4, v6 혼재되어 사용 - 컴퓨터에 부여 - IP주소는 NIC 하나에 여러 개 바인딩(맵핑) 가능 => 한 컴퓨터에 IP 주소 N개 * Host: 인터넷.. 더보기